디지털노마드

가게부만 쓰시나요? 나의 자산계획에 대해서 아시나요?

후후100억 2024. 1. 30. 06:50
반응형

오늘은 어떻게 계획적으로 본인의 미래를 설계 하는지에 대해서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은 가게부 작성을 하시나요?

아마 경제적인 부분에 신경을 많이 쓰시는 분들은 지출 관리를 위해서 가게부 어플등을 사용하실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매달 지출만 관리 하시면 현재만 보는게 아닐까요?

 

미래를 계획하고 설계하라!

저는 미래에 대해서 얘기를 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사람들은 본인의 꿈에 대해서 생각하는 과정이 1단계라면 이때는 현실로 이룰 확률을 10%라고 한다면,

본인의 미래에 대해서 말로 하는 그 순간 확률은 2-3배 올라간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걸 글로 적는 순간 목표 달성의 확률은 다시 2-3배가 더 올라갈거고요.

그런데 체계적으로 글로 쓰면서 계획을 세운다면 성공 확률은 또다시 2-3배가 올라가겠죠?

그래서 저는 미래를 계획하고 설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년, 3년, 10년의 재무 계획을 수립해라!

단기, 중기, 장기의 계획을 수립하라고 추천 드리고 싶습니다.

그러면 지출 뿐만 아니라 수입에 대해서도 관리하고 목표가 생기기 때문이죠.

이렇게 작성하다 보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더 좋은 아이디어들이 쏟아져 나오게 됩니다!

계획은 단 한번만 하는게 아니다! 자꾸 수정해라!

저는 처음부터 너무 완벽하고 달성하기 어려운 계획을 세우기 보다는 우선 초안을 작성하라고 얘기하고 싶습니다.

초안을 작성하고서 주기적으로 가다듬는것을 추천 드립니다.

 

본래 나라에서 하는 도시개발계획 등 다양한 계획들도 주기적으로 상황에 따라 조정되고 목표가 바뀌고 합니다.

저는 자꾸 수정하라고 말씀 드리는 이유가 많이 생각할 수록 그 부분에 대해서 달성하기 좋다고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작성 방법을 간단히 말씀 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단기,중기 계획에서는 현재의 수입, 그리고 지출에 대해서 정확히 파악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각 해당 년도에 대해서도 미리 예측을 하고요. 그러면 어느부분에 투자를 하는게 좋을지 방향성이 정해질거고 그러면 3년, 5년, 10년후에 내가 모을 수 있는 자산의 규모가 확정이 됩니다.

그렇게 되면 본인의 꿈이 구체화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의 간단한 계획을 말씀 드릴게요.

예를 들어 말씀 드리는 사항이니 수입 부분에 대해서만 단기,중기,장기적으로 얘기해보겠습니다.

[3년 내 계획]

1.근로소득: 현재 수준을 유지, 월 400-500만원 사이

2.사업소득: 매년 10% 상승을 목표, 월 300에서 시작하여 3년 내 400이 목표

3.SNS소득: 1년내 최초 시작으로 2년차 월100, 그리고 3년차 월 300 목표

4.금융소득: 매년 투자 수익금 5%씩 승상하여 1년차 500, 2년차 600, 3년차 700 (연간 세금 제외 후)

위 4가지 소득으로 연간 3억원을 목표로 잡았습니다. (2년이내)

3년차부터는 5억원 연소득을 위하여 준비의 과정

 

예를 들다 보니 정확히 제 상황을 나열하기가 어려워 광범위하게 작성했지만 전달드리고 싶은 메시지는 구체화 하는게 중요하다는 내용을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가면서 튜닝을 해주면 된다고 생각하고 부담없이 작성을 하시길 바랍니다.

 

-후후10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