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기본적인 통장 운영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사실 많은 분들이 착각하는 게 하나 있습니다.
내가 버는 돈에서 어떻게 잘 저축하고 돈을 모아서 그 돈을 빨리 목돈으로 만들 수 있을까? 이 부분에 대해서는 많은 분들이 고민합니다. 하지만 소비에 대해서도 신경을 쓰시나요?
다시 말해서 수입에 대해서는 리밋이 매달 있는데 지출을 잘 통제하고 계신가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한번 생각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지출? 내가 컨트롤하고 제어할 수 있는가?
사실 재테크의 가장 기본은 모으는게 아닙니다.
지출을 어떻게 관리하고 계획적으로 운영할 것인가입니다.
그래야 사실 남은 돈을 갖고 어디에 투자해서 어떻게 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가가 나오게 됩니다.
사람마다 수입은 모두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에게 한 달에 200만 원을 모아라! 400만 원을 모아라! 이렇게 얘기할 수 없습니다! 다만, 수입에서 지출을 최소화하고 저축을 늘려라 이렇게는 말할 수 있는 겁니다.
통장을 세분화하는 게 1차 목표!
통장을 나누라는 말이 무슨 말씀이신지 아시나요?
잘 모르시는 분들에게 예를 들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예) 월수입 400만 원, 고정지출 80만 원, 대출 이자원리금 상환 60만 원, 용돈 30만 원, 생활비 150만 원, 문화/도서/음반 10만 원
위와 같이 수입에서 각 지출하는 항목들을 조금 구체화해봤습니다.그러면 위에 구분한 대로 통장을 6개로 만들라는 겁니다. 보통의 사람들은 월급통장에서 자동으로 빠져나가게 하고 계실 겁니다. 그런데 그렇게 하는 것보다는 통장을 일단 6개로 구분하는 게 가장 처음 목표입니다.
각 통장에 별칭, 메모, 제목을 이용해서 구분해라! 보기 쉽게! 목적을 명시하기!
그다음으로 할 내용은 바로 통장에 목적을 명시하는 겁니다.
위에 설명한 지출 내용을 딱딱 눈에 들어오게 별칭이나 통장 제목으로 사용하는 겁니다.
통장에 목적 다음으로 꼭 월 사용해야 할 금액을 적어라!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한 항목입니다. 통장에 금액을 표시하기!
아래와 같이 목적과 금액을 같이 적어줘야 합니다.
통장 1. 월급통장
통장 2. 고정지출 80만 원
통장 3. 대출상황 60만 원
통장 4. 용돈 30만 원까지만
통장 5. 생활비 줄이자! 150만 원
통장 6. 문화생활은하자 10만 원
모두가 공감하실 겁니다. 버는 수입을 늘려라! 이게 가장 좋지만,
아무리 많이 벌어도 지출을 관리하지 못하는 순간 돈은 모을 수 없다! 얼마큼 버는 게 중요하기보다는 얼마큼 지출하고 내가 제어할 수 있는가가 재테크의 기본이다!
위와 같이 구분을 하면 통장을 보면서 매달 금액을 컨트롤하고 목적과 한계치까지 딱 볼 수 있게 되어서 관리하기가 편리하게 됩니다. 어떠신가요? 지출을 매번 컨트롤하고 관리하고 원하는 숫자 내외서 잘 사용할 수 있겠죠?
오늘은 이렇게 지출에 대해서 계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후후 100억-
'디지털노마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라클모닝, 개인 루틴 생활이 경제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준다! (1) | 2024.01.25 |
---|---|
내집마련! 이방법 모르면 점점 시기가 늦어진다 (2) | 2024.01.23 |
증여세, 상속세 어떻게 준비하시나요? (4) | 2024.01.20 |
해외선물이란? 거래 하는 방법? (0) | 2024.01.19 |
종잣돈 1억 모으기! 시드머니(Seed money)란? (1)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