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노마드

연말정산 준비하기! 13번째의 월급이 될 수 있을까?

후후100억 2024. 2. 1. 20:30
반응형

오늘은 연말정산 시즌을 맞이하여 관련 글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아마 근로소득이 있으신 모든 분들은 2023년 연말정산을 하실 겁니다. (기준: 2023년 1월1일~2023년12월31일 까지 소득 500만원 이상일 경우)

 

얼마전 통계에서 보니 근로소득을 받고 있는 사람이 약 1,200만명 정도가 살짝 넘는다고 하더라고요. 여러분도 그 안에 속해 있다고 가정하고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인적공제, 장애인공제 등을 확인해라!

가장 연말정산에서 크게 비중을 두고 있는 것은 기본적인 공제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23년도 12월이 되기 전에 항상 준비를 하셔야 합니다. 등본 부분 확인 부터 누락이 없는지 체크를 해야 합니다. 자녀가 생겨났을 경우에도 꼭 신고를 미리하고 등록을 하는게 좋습니다.

직계존속으로 부모,조부모님들도 확인 가능하다면 이부분도 체크해봐야 합니다.

부부 맞벌이일 경우 유리한쪽으로 합산을 해라!

이부분은 뉴스나 유튜브등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다들 잘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맞벌이의 경우 기본적으로 따로따로 연말정산을 하지만 유리한 항목에 대해서는 합산을 해야 합니다. (합산 가능한 항목에 대해서)

 

기본공제의 경우에는 소득이 높아서 소득세율이 높게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곳으로 기본공제, 인적공제를 주는게 좋습니다.

 

또한 의료비의 경우 소득금액의 3% 이상 금액에 대해서만 공제가 되므로 이부분은 낮은 급여를 받는 사람에게 가는게 유리합니다. (의료비의 경우 부부 한쪽으로 합산해서 사용 가능합니다.)

 

이렇게 조금씩 공부하여 연말정산을 한다면 절세 부분에 많은 혜택들이 있습니다^^

 

재테크 부분도 신경을 써라!

최근에는 연금,노후 자금등에 대해서 공제 되는 것들이 많습니다.

 

ISA계좌 등도 마찬가지요. 그래서 간혹 보면 연말 정산을 진행하면 정말 신용카드사용내역 외에는 특별히 혜택을 받을게 없는사람들이 많던데요. 이렇게 진행하시지 말고 적금,저축 등의 상품등을 보면서 세액 공제가 되는 상품을 사용하면 연말정산에 정말 도움이 많이 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저는 사실 많은 분들이 소득을 늘리는 부분에만 신경을 쓰면서 집중하던데, 그것도 적절한 방법이지만 소득 외에도 지출 부분을 컨트롤 하고 그리고 세금도 공부를 해야 3박자가 갖춰진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소득이 많아지면서 부동산투자,금융투자를 한다면 절세 부분에 대해서 많은 공부를 하시는걸 추천 드리고 싶습니다.

절세 또한 향후 자산이 10억이 넘어가면 그 부분을 save하는것이 소득을 늘리는 것보다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연말정산에 대해서 포스팅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후후 100억-